샤오미 레드미 13 프로 플러스를 구입후 6개월 사용후 액정이 깨지는 바람에 수리를 알아보게 되었다. 국내에서 수리가 가능한지, 비용은 얼마나 드는지, 해외에서 수리하면 더 저렴한지 등 다양한 정보를 조사했다. 같은 고민을 하는 분들을 위해 정리해보았다.
▶샤오미 레드미 13프로 플러스 사용후기
우선 레드미13은 프로가 있고 플러스가 있다. 최신형으로 플러스는 국내에서는 판매가 되지않고 알리에서 직구로 구매해야 한다. 삼성폰은 신형으로 구매하려면 가격대가 100만원이 넘어가서 부담스럽고 반면에 샤오미폰은 예전에 레드미7 을 써봤는데 크게 불편한점은 없었고 고장도 적었다. 그래서 이번에는 최신형으로 구입한다고 했는데 구매하면서 놓친부분은 주파수 부분이다. 예전에 레드미7은 알뜰폰도 문제없이 잘터졌기 때문에 신형은 더 잘 터질거라고 생각했는데 상세페이지에 주파수가 기록되어있는데 그걸 잘 살펴야 SK, LG유플러스, KT 가 잘 터지는지 안터지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그래서 오늘 그부분도 알려드리겠다. 액정깨지지전 6개월간 사용해본 바로는 카메라 성능은 최고였다(물론, 내기준이다).
인터넷 속도도 빨랐고 사양이 고사양 이다보니 모든게 빨랐다. 디자인도 좋았다. 단지 카메라가 너무 돌출되서 안좋다. 자전거 거치대에 맞지 않아 새로 거치대를 구매해야 했다. 그런데 알뜰폰 엘지유플러스를 쓰고있는데 타 통신사와는 통화가 될때가 있고 안될때가 있고 그렇다. 이거 완전 구매실패다. 그 이유는 주파수다.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주파수는 이렇다.
📡 국내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
✅ LTE (4G) 주파수 대역
- Band 1 (2100MHz) → SKT, KT, LG U+
- Band 3 (1800MHz) → SKT, KT
- Band 5 (850MHz) → SKT, KT
- Band 7 (2600MHz) → LG U+
- Band 8 (900MHz) → KT
- Band 26 (850MHz 확장) → SKT
- Band 28 (700MHz) → KT, LG U+
✅ 5G (NR) 주파수 대역
- N78 (3500MHz) → SKT, KT, LG U+
- N257 (28GHz) → SKT, KT, LG U+ (거의 사용 안 함)
나는 4G를 사용하는데 레드미13은 주파수가 이렇다.
4G:
FDD-LTE:B1 / B3 / B5 / B8 / B19
TDD-LTE:B34 / B38 / B39 / B40 / B41
*Note: LTE B41 (2496-2690 194MHz);
TDD는 국내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고 FDD를 봐야한다.
FDD-LTE: B1 / B3 / B5 / B8
- B1 (2100MHz) → SKT, KT, LG U+
- B3 (1800MHz) → SKT, KT
- B5 (850MHz) → SKT, KT
- B8 (900MHz) → KT
그러니 LG유플러스를 사용하려면 B1, B7, B28이 포함되야 원활히 통화가 가능하다.
이 정도 상식만 있었어도 구매에 실패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방법은 KT로 바꾸면 원할히 통화가 가능하긴 하다.
6개월 잘 사용후 도로에서 자전거 거치대에서 핸드폰이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여 분실까지 하고 결국 경찰서에서 찾기는 했지만 볼록튀어나온 카메라는 아작이 났다. 간신히 카메라 기능은 작동해서 쓰고있다. 그후 액정에 붙여놓은 필름을 제거한후 보도블록 바닥에 한번 떨어뜨렸는데 액정이 거미줄치듯 실금들이 갔다. 액정만이라도 멀쩡하면 사용하는데는 큰 문제는 없으련만 비만 맞으면 앱들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고 문자를 볼때도 쓸때도 불편해서 결국 바꾸거나 수리해야 한다.
그래서 혹시나 하고 샤오미 A/S에 문의 했지만 레드미13프로 플러스는 한국입고도 안되었고 자기들한테 구매한게 아니면 수리를 안해준다고 한다. 그래도 방법이 있겠지하고 찾아보았다.
1. 국내에서 샤오미 레드미 13 프로 플러스 액정 수리가 가능할까?
국내에서는 샤오미 공식 서비스센터가 제한적이라 공식적인 수리는 어려운 편이다. 하지만 사설 수리 업체를 이용하면 액정 수리가 가능하다. 특히 서울 용산 전자상가의 "GSM몰" 같은 곳에서 수리를 맡길 수 있다고 한다.
✅ 사설 수리점 이용 시 주의할 점
- 정품 액정이 아닐 수도 있음
- 수리 후 품질이 다를 가능성 있음
- 가격이 업체마다 다르므로 비교 필수다.
예상 비용: 액정 15~25만 원/ 카메라 3~5만 원 (정확한 금액은 매장에 문의 필수!)
- 전화번호: 070-4121-6775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 128 e-테크벨리오피스텔
- 택배로 접수후 수리후 택배로 받는데 몇일정도 소요될수 있슴.
<샤오미 이전버전이 홍미노트7 인데 기본적인 분해와 액정수리 유투브영상 참고>
2. 그럼 중국에서 액정 수리하면 더 저렴할까?
샤오미는 중국 브랜드라서 중국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수리하면 더 저렴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샤오미 공식 서비스센터에서는 정품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퀄리티도 신뢰할 수 있다. 하지만 왕복 교통비가 더 많이 들기 때문에 이거 그냥 중국방문이나 여행삼아 가보는거라면 괜찮을거 같다.
🔹 중국 샤오미 공식 서비스센터 정보
도시주소전화번호
베이징 | 北京市海淀区中关村大街27号 中关村大厦4层 | +86-10-8253-1965 |
상하이 | 上海市徐汇区漕溪北路41号 汇嘉大厦3层 | +86-21-5425-9900 |
광저우 | 广州市天河区天河路228号 广晟大厦5层 | +86-20-8559-0080 |
예상 비용: 10~18만 원 (공식 센터에 따라 다름)
3. 서울에서 상하이 샤오미 서비스센터 방문하기
✈️ 항공편 정보
- 항공사: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중국동방항공 등
- 소요 시간: 약 2시간 30분
- 왕복 항공권: 약 17~30만 원 (시즌별 변동)
🚆 공항에서 샤오미 서비스센터 가는 법
푸동 공항(PVG)에서 이동 시
- 지하철 2호선 → 쉬자후이(徐家汇)역 하차 → 도보 이동
- 택시 이용 (약 50분, 200위안 = 약 35,000원)
홍차오 공항(SHA)에서 이동 시
- 지하철 10호선 → 홍차오루(虹桥路)역 환승 → 3호선 차오시루(漕溪路)역 하차
- 택시 이용 (약 30분, 100위안 = 약 17,500원)
4. 국내 수리 vs. 해외 수리, 뭐가 더 좋을까?
비교 항목 | 국내 사설 수리 | 중국 공식 서비스센터 |
가격 | 15~25만 원 | 10~18만 원 |
수리 품질 | 정품 여부 불확실 | 정품 부품 사용 |
이동 비용 | 없음 | 항공권 + 숙박 필요 |
수리 시간 | 1~2시간 내 가능 | 1~2일 소요될 수도 있음 |
결론:
- 비용을 아끼려면 중국에서 수리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항공권과 숙박 비용을 고려해야 함.
- 빠르게 수리하려면 국내 사설 업체 이용이 더 편리함.
5. 마무리
샤오미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공식 서비스센터가 부족해서 난감할 때가 많다. 하지만 사설 수리점과 해외 공식 센터를 적절히 이용하면 충분히 해결 가능하다. 국내에서 빨리 수리할지, 중국에서 저렴하게 수리할지 상황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하지만 나는 그냥 새로 20만원대 중반으로 조금 더 저렴한걸로 구매하려고 한다.ㅎㅎ
레드미note 14 가 4G: LTE FDD: B1/2/3/4/5/7/8/12/13/17/18/19/20/26/28/32/66 로 모든 통신사 사용가능할거 같다.
국내폰도 약정같은거 없이 저렴하게 언락폰이 많이 출시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