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로 가장 피해를 많이보고 손해평가 일손이 딸리는 작물이 벼 인거 같다.
그래서 손해평가 실무방법 연구과제 첫번째 작물로 벼를 택했다.
▶손해평가를 하는 이유는?
농작물 재해보험에 가입한 농민들을 상대로
정확한 피해 규모를 측정하여 재해로 인한 손실에 대한 보험금 보상을 위한 준비작업이라고 보면 된다.
또한, 정부 지원, 농가 경영 안정, 연구 및 정책 수립, 분쟁 예방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럼, 어떤 피해를 보상해 주는가?
일반적으로 자연재해(태풍,우박,동상해, 호우, 강풍, 한해(가뭄), 냉해, 조해, 설해, 폭염, 기타 이에 준하는 자연재해)
조수해, 화재를 보상해 주고,
벼의 경우는 특별히 병충해보장 특약가입시
흰잎마름병, 벼멸구, 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깨씨무늬병, 먹노린재, 세균성벼알마름병 에 대해서 보상해 준다.
반면에 보상하지 않는 손해도 있으니 유의 해야 한다.
❌ 농가의 과실: 농약·비료 오남용, 방제 소홀, 수확 지연
❌ 예방 가능 피해: 관리 부실로 인한 병해충 피해
❌ 보험 대상 외 손해: 가격 하락, 노동력 부족, 환경오염
❌ 기타: 피해율 기준 미달, 보험 가입 전 피해, 전쟁·방사능 피해
보험 약관에 따라 세부 면책 사항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가입 시 상세 조건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
▶벼의 보험보장 종류는 다음과 같다.
<보통약관상, 종합위험 보장>
1.이앙 직파 불능 보장
2.재이앙 재직파 보장
3.경작불능 보장
4.수확불능 보장
5.수확감소 보장
<특별약관상 병해충 보장>
1.재이앙 재직파 보장
2.경작불능 보장
3.수확불능 보장
4.수확감소 보장
일반적인 작물의 경우 아래의 작물외에는 병충해에 대한 보상은 하지 않는다.
- 복숭아: 세균구멍병
- 감자: 특정 병해충 (세부 사항은 해당 보험 약관 확인 필요! 등급별 보장함.)
- 고추: 특정 병해충 (세부 사항은 해당 보험 약관 확인 필요! 등급별 보장함.)
그러니,
마지막으로 벼의 병충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자.(중요)
복숭아 감자 고추의 병충해에 대해서는 추후 포스팅할 예정이다.
🌿 벼의 주요 병해 및 증상
1. 흰잎마름병 (Bacterial Leaf Blight, BLB)
✅ 원인: 세균(🔬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 증상
발병은 보통 출수기 전후에 나타나나 상습발생지에서는 초기에 발병하며, 드물게는 묘판에서도 발병된다. 병징은 주로 엽신(잎의 넓은 부분) 및 엽초(줄기를 감싸는 잎의 밑부분)에 나타나며, 때에 따라서는 벼알에서도 나타난다. 병반은 수일이 경과 후 황색으로 변하고 선단부터 하얗게 건조되며 급속히 잎이 말라죽게 된다.
- 잎 가장자리가 물에 젖은 듯한 연한 초록색 반점이 생김
- 점차 반점이 황백색(흰색)으로 변하며 마름
- 심하면 잎 전체가 말라 벼가 고사됨
- 비바람이 심한 환경에서 전염이 빨리 됨
2. 벼멸구 (Brown Planthopper, BPH)
✅ 원인: 해충(🦟 Nilaparvata lugens)
✅ 증상
벼멸구는 대체로 성충이 중국으로부터 흐리거나 비 오는 날 저기압 때 기류를 타고 날아와 발생하고 정착 후에는 이동성이 낮 아 주변에서 증식한다. 벼멸구는 형태적으로 애멸구와 유사하여 구별이 쉽지 않으나, 서식 행동에서 큰 차이점은 애멸구는 개별 적으로 서식하나 벼멸구는 집단으로 서식한다. 벼멸구 흡즙으로 인한 전형적인 피해 양상은 논 군데군데 둥글게 집중고사 현상이 나 타나고, 피해는 고사시기가 빠를수록 수확량도 크게 감소하며, 불 완전 잎의 비율이 높아진다. 쌀알의 중심부나 복부가 백색의 불 투명한 심복백미(心腹白米)와 표면이 우윳빛처럼 불투명한 유백미 (乳白米) 또는 과피에 엽록소가 남아있는 청미(靑米) 등이 발생한다
- 성충과 유충이 벼 줄기를 빨아먹어 벼 잎이 황변
- 피해가 심하면 벼가 쓰러지고 말라 죽음 (hopperburn 현상)
- 특히 논에서 무리 지어 발생하며 빠르게 확산됨
3. 도열병 (Rice Blast Disease)
✅ 원인: 곰팡이(🍄 Magnaporthe oryzae)
✅ 증상
도열병균은 진균의 일종으로 자낭균에 속하며, 종자나 병든 잔재물 에서 겨울을 지나 제1차 전염원이 되고 제2차 전염은 병반상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바람에 날려 공기 전염한다. 잎, 이삭, 가지, 등의 지상 부위에 병반을 형성하나 잎, 이삭, 이삭가지 도열병이 가장 흔하다. 잎에는 방추형의 병반이 형성되어 심하면 포기 전체가 붉은 빛을 띄며 자라지 않게 되고, 이삭목이나 이삭가지는 옅은 갈색으 로 말라 죽으며 습기가 많으면 표면에 잿빛의 곰팡이가 핀다.
- 잎에 작은 타원형 또는 방추형의 갈색 반점이 생김
- 점차 반점이 커지고 중앙이 회색으로 변함
- 심하면 벼 줄기와 이삭에도 감염되어 수확량이 급감함
-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급속히 확산됨
4. 줄무늬잎마름병 (Rice Stripe Disease, RSD)
✅ 원인: 바이러스(🦠 Rice stripe virus, 매개충: 애멸구)
✅ 증상
줄무늬잎마름병은 종자, 접촉, 토양의 전염은 하지 않고 매개충인 애멸구에 의하여 전염되는 바이러스병이다. 전형적인 병징은 넓은 황색줄무늬 혹은 황화 증상이 나타나고, 잎이 도장하면서 뒤틀리 거나 아래로 처진다. 일단 병에 걸리면 분얼경도 적어지고 출수되지 않으며, 출수되어도 기형 이삭을 형성하거나 불완전 출수가 많다.
- 잎에 황색 또는 엷은 녹색의 줄무늬가 생김
- 심하면 잎이 오그라들며 말라 죽음
- 바이러스성 병이므로 치료 불가능 → 예방이 중요 (애멸구 방제 필요)
5. 깨씨무늬병 (Sheath Brown Rot)
✅ 원인: 곰팡이(🍄 Rhizoctonia solani)
✅ 증상
잎에서 초기병반은 암갈색 타원형 괴사부 주위에 황색의 중독부를 가지고, 시간이 지나면 원형의 대형 병반으로 윤문이 생긴다. 줄기에는 흑갈색 미세 무늬가 발생, 이후 확대하여 합쳐지면 줄기 전체가 담갈색으로 변한다. 이삭줄기에는 흑갈색 줄무늬에서 전체가 흑갈색 으로 변한다. 도열병과 같이 이삭 끝부터 빠르게 침해되는 일은 없으며, 벼알에는 암갈색의 반점으로 되고 후에는 회백색 붕괴부를 형성한다.
- 잎집(줄기와 잎 연결 부위)에 작은 갈색 반점 발생
- 시간이 지나면서 반점이 점점 커지고 깨씨(참깨) 같은 검은 얼룩이 생김
- 심하면 잎집이 썩고 벼가 쓰러질 수 있음
※조기진단 기술개발 뉴스: https://www.nongmin.com/article/20130129071259
6. 먹노린재 (Rice Black Bug, Scotinophara lurida)
✅ 원인: 해충(🦟 Scotinophara lurida)
✅ 증상
비가 적은 해에 발생이 많고, 낮에는 벼 포기 속 아랫부분에 모여 대부분 머리를 아래로 향하고 있다가 외부에서 자극이 있으면 물속으로 잠수한다. 성충과 약충 모두 벼의 줄기에 구침을 박고 흡즙 하여 피해를 준다. 흡즙 부위는 퇴색하며 흡즙 부위에서 자란 잎은 피해를 받은 부분부터 윗부분이 마르고 피해가 심하면 새로 나온 잎이 전개하기 전에 말라 죽는다. 피해는 주로 논 가장자리에 많이 나 타나는데, 생육 초기에 심하게 피해를 받으면 초장이 짧아지고 이삭 이 출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출수 전후에 피해를 받으면 이삭 이 꼿꼿이 서서 말라 죽어 백수와 같은 증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 성충과 유충이 벼의 줄기와 이삭을 빨아먹어 이삭이 쭉정이가 됨
- 벼 잎에 검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황변
- 야간에 활동하며 습한 환경에서 많이 발생
7. 세균성벼알마름병 (Bacterial Grain Rot)
✅ 원인: 세균(🔬 Burkholderia glumae)
✅ 증상
주로 벼알에 발생하나 엽초에도 병징이 보인다. 벼알은 기부부터 황백색으로 변색 및 확대되어 전체가 변색된다. 포장에서 일찍 감염된 이삭은 전체가 엷은 붉은색을 띠며 고개를 숙이지 못하고 꼿꼿이 서 있으며, 벼알은 배의 발육이 정지되고 쭉정이가 된다. 감염된 종자 파종 시 심한 경우 발아하지 못하거나 부패되며, 감염 정도가 경미한 경우 발아한 모는 잎이 전개되지 못하거나 생장이 불량하여 고사한다
- 벼 이삭이 여물지 못하고 붉은색~갈색으로 변함
- 심하면 이삭 전체가 말라 죽음
- 병든 이삭에서는 특유의 썩은 냄새가 남
-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생이 심함
✅ 정리: 벼 병해충별 주요 증상
병해/해충주요 증상
흰잎마름병 | 잎이 황백색(흰색)으로 변하며 마름 |
벼멸구 | 벼 줄기를 빨아먹어 잎이 황변하고 고사 (hopperburn) |
도열병 | 잎에 갈색 반점이 생기고 중앙이 회색으로 변함 |
줄무늬잎마름병 | 잎에 황색 줄무늬, 심하면 오그라들며 고사 |
깨씨무늬병 | 잎집에 검은 깨씨 같은 반점, 심하면 썩음 |
먹노린재 | 벼 이삭이 쭉정이로 변하고 검은 반점 생김 |
세균성벼알마름병 | 이삭이 붉은색~갈색으로 변하며 썩는 냄새 발생 |
🌿 예방 및 방제 방법
- 병해: 저항성 품종 선택, 적절한 농약 사용, 논의 환기 유지
- 해충: 논 주변 풀 정리, 해충 발생 시 적용약제 방제
- 공통: 비료 과다 사용 자제, 장마철 배수 관리 철저
각 병해충은 환경과 시기에 따라 발생 정도가 다르므로, 정기적인 논 관찰과 예방적 방제가 중요하다.
이상으로 벼의 손해평가시 병충해특약에 가입한 농가의 피해에대해
병충해 피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병충해에 대한 지식이 필요할것으로 사료되므로 다루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