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과 RSS는 무엇?
최근에 구글 서치콘솔에 들어가보니
사이트맵은 성공적으로 등록 되었는데 RSS는 가져올수 없음
이란 메세지가 떳다.
이유를 알수가 없어서 공부할수 밖에 없었다.
====================================
Sitemap과 RSS의 차이는?
●Sitemap(XML) :
웹사이트의 전체 구조를 검색 엔진에 제공하는
마치 지도와 같은 역할을 한다.
모든 페이지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블로그 글이나 뉴스 기사와 같이 새롭게 업데이트된 콘텐츠를
검색 엔진이나 구독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Sitemap에 RSS를 포함하는 이유는?
1. 빠른 색인화(Indexing):
검색 엔진이 새로운 콘텐츠를 더 신속하게 발견하고 색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 최신 콘텐츠 제공:
RSS는 변경된 페이지나 새로 추가된 콘텐츠를 자동으로 반영 해준다.
3. 검색 엔진 최적화(SEO) 강화:
자주 업데이트되는 사이트에 RSS를 추가하면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의 방문 빈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
구글 서치콘솔에서 "사이트맵에서
RSS를 가져올 수 없음"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는?
1. RSS 피드 형식 오류:
사이트맵의 RSS 피드가 올바른 XML 구조를 따르지 않거나
유효하지 않은 형식일 경우 발생할 수 있다.
2.접근성의 문제:
RSS 피드 URL에 접근할 수 없거나 서버에서 피드를 차단하는 경우
이러한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다.
- RSS 피드 URL이 올바르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음.
- RSS 피드가 robots.txt에서 차단됨.
- 서버에서 RSS 파일 제공이 중단됨.
3. 보안 설정 또는 권한 제한:
웹사이트의 보안 설정이 구글 크롤러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을 수 있다.
4. 사이트맵 URL 오류:
사이트맵에 잘못된 RSS 피드 URL이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 RSS 피드 URL이 올바르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음.
- RSS 피드가 robots.txt에서 차단됨.
- 서버에서 RSS 파일 제공이 중단됨.
5. 기술적 문제 :
HTTP 상태 코드 오류
서버 측 문제나 RSS 피드 생성 과정에서의
기술적 오류가 원인일 수 있다.
- 서버에서 404(파일 없음), 500(서버 오류) 같은 응답을 반환함.
- RSS 피드를 제공하는 서버가 다운되었거나 속도가 느림.
=======================================================
구글 서치콘솔에서 "사이트맵에서
RSS를 가져올 수 없음" 해결방법은?
나의 경우는 5번 "HTTP상태코드 오류"로 나타났다.
이경우는 구글 서치콘솔의 "URL 검사" 도구를 사용해
RSS URL의 상태를 점검하고 상태 코드를 확인하고,
웹서버 로그를 분석하여 RSS 요청이 제대로 처리되고 있는지
확인해 보라고 한다.
서버 캐시나 CDN에 문제가 있다면,
캐시를 새로고침하거나 완전히 비운 후 다시 제출해보라는데...
도대체 뭔말인가 알수가 없다.
html이나 xml 파일들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아무래도 이건 전문가의 영역인듯 하여 포기하기로 했다.
일시적 현상일수도 있다고 하니까...
그리고 RSS는 Sitemap만 제출이 잘되었으면
크게 문제는 없다고 한다. 색인된 페이지가 조금 느려질 뿐..
최후의 방법은 RSS를 수정하거나 제거해서 다시 제출하면
된다고 한는데 그 방법을 알게되면 다시 포스팅할 예정이다.
결론적으로 RSS오류는 검색순위에는 영향은 없지만,
오래 방치하면 색인속도가 느려질수 있으니 해결은 해야한다는것.
오늘은 이정도로 Sitemap 과 Rss 에 대해서 공부해 보는걸로
만족해야 했다.
